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5년 7월 3일 국내 증시: 코스피 3100 돌파! 삼성전자·2차전지 급등
    국내증시 2025. 7. 3. 18:29
    2025년 7월 3일 국내 증시: 코스피 3100 돌파! 삼성전자·2차전지 급등



    [국내 증시] 2025년 07월 03일 목요일 마감 브리핑 🇰🇷

    2025년 7월 3일, 국내 증시는 강력한 호재들이 연이어 터지며 폭발적인 랠리를 펼쳤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3,100선을 가뿐히 넘어 202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의 강력한 매수세가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삼성전자의 급등과 함께 2차전지, 반도체, 철강 등 수출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이며 완연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보여주었습니다.

    자세한 시장 동향을 지금부터 전해드립니다.




    오늘의 국내 증시 한눈에 보기 📰

    2025년 7월 3일 목요일, 국내 증시는 겹호재에 힘입어 양대 지수 모두 1% 넘게 급등하며 강세장을 연출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2021년 9월 이후 약 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3,100선을 가볍게 돌파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34% 폭등한 3,116.27에, 코스닥 지수는 +1.43% 급등한 793.3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양 시장에서 1조 3천억 원이 넘는 대규모 순매수를 기록하며 랠리를 이끌었습니다.

    시장은 ▲미국-베트남 무역합의 타결 ▲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삼성전자 급등이라는 3대 호재에 열광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4.93%)가 베트남 공급망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에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이러한 훈풍 속에 철강, 2차전지, 반도체 등 수출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정부의 탈 플라스틱 정책 발표에 친환경 관련주도 급등했습니다.

    반면, 최근 강세를 보였던 조선, 전력설비 등의 테마는 차익 실현 매물에 하락하며 뚜렷한 순환매 장세를 보였습니다.




    📊 국내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외국인과 기관의 강력한 동반 순매수에 힘입어 코스피와 코스닥 양대 지수 모두 1% 이상 급등하며 장중 고점에서 마감했습니다.

    지수 종가 변동률 거래대금
    코스피 3,116.27 +1.34% 14.6조
    코스닥 793.33 +1.43% 5.7조



    🏦 투자자별 매매 동향 (억 원)

    외국인과 기관이 코스피와 코스닥 양 시장에서 동반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 홀로 1조 2천억 원이 넘는 대규모 순매도를 보였습니다.

    시장 외국인 기관 개인
    코스피 6,320 5,620 -12,330
    코스닥 1,096 397 -1,498



    💰 증시 주변 자금 (억 원)

    고객예탁금이 다시 큰 폭으로 증가하며, 시장의 활발한 분위기 속에서도 대기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항목 금액 증감
    고객예탁금 704,133 14,409
    미수금 9,863 -574
    신용잔고 208,798 930
    선물예수금 116,735 -203



    📌 종목 등락 현황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모두 상승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를 압도하며 전반적인 강세장 분위기를 그대로 반영했습니다.

    구분 상한 상승 보합 하락 하한
    코스피 1 610 40 283 0
    코스닥 5 1,185 83 449 0



    🔥 250일 신고가 달성 종목

    시장의 강한 상승세에 힘입어 철강, 금융, 카지노, 반도체 등 다양한 업종의 종목들이 신고가를 경신하며 강한 모멘텀을 보여주었습니다.

    종목 종가 변동률
    현대제철 35,950 +17.48%
    온타이드 674 +1.66%
    LG유플러스 14,580 +0.90%
    파라다이스 15,590 +3.31%
    에스앤에스텍 46,200 +11.33%
    KB금융 116,900 +3.00%
    GKL 16,020 +3.96%
    BNK금융지주 13,150 +2.10%
    넵튠 10,580 +23.74%
    SK케미칼 76,300 +5.53%
    세림B&G 1,803 +29.99%



    📈 코스피 마감 시황 요약

    7월 3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4% 급등한 3,116.27포인트로 마감하며 202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미국-베트남 무역합의 타결과 상법 개정안 국회 통과라는 대형 호재가 시장을 이끌었고, 외국인과 기관이 1조 원 넘는 쌍끌이 순매수에 나섰습니다.

    특히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가 5% 가까이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며, 철강, 2차전지 등 수출 관련주들이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 코스닥 마감 시황 요약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3% 급등한 793.33포인트로 마감하며 하루 만에 강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의 훈풍과 함께 외국인이 7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전환하며 투자 심리를 크게 개선시켰습니다.

    미국 증시에서 테슬라가 급등한 영향으로 2차전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고, 삼성전자 강세에 힘입어 반도체 관련주들도 동반 상승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반면, 하이브 관련 부정적 소식에 엔터테인먼트 관련주들은 하락했습니다.




    📰 오늘의 테마 시황 요약

    📈 상승 테마

    - 철강: 미국-베트남 관세 합의에 따른 반덤핑 관세 완화 기대감.

    - 탈 플라스틱 (친환경): 대통령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소식.

    - 2차전지/전기차/리튬: 미국 테슬라 주가 급등 영향.

    - 반도체 관련주: 미국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

    - 중국 소비 관련주: 정부의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상시화 검토 소식.

    - 종합 물류/알래스카 LNG: '북극항로 개척사업' 국정과제 추진 및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기대감.

    - 방위산업 (일부): 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 확정 소식.



    📉 하락 테마

    - 조선/조선기자재: 상반기 수주 부진 소식 및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 실현.

    - 엔터테인먼트/음원: 하이브 의장 금감원 소환조사 소식.

    - 전선/전력설비: 차익 실현 매물 출회.




    🌟 특징 테마 상세 분석

    🏭 철강 주요종목 / 중소형

    미국과 베트남의 관세 합의 타결 소식이 국내 철강업계에 큰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함께, 한국산 철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탈 플라스틱 (친환경/생분해성 등)

    대통령이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을 맞아 올해 안에 '탈 플라스틱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히면서 친환경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등했습니다.

    먹는 샘물 페트병에 재생 원료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 제시되면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재활용 관련 기업들의 수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 2차전지 / 전기차

    간밤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가 2분기 인도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는 평가 속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5%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소식이 국내 2차전지 관련주에도 훈풍을 불어넣으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에코프로비엠 등 주요 종목들이 동반 상승했습니다.





    🖥️ 반도체 관련주

    미국 상원이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율을 35%로 확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88% 상승 마감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또한 미-베트남 무역 합의로 인한 공급망 안정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관련주들이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 상한가 및 주요 급등 종목 분석

    • 이스트아시아홀딩스: +30.00% - 패션/의류 테마 상승 및 주식병합 결정 모멘텀이 지속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이브이첨단소재: +30.00% - 대만 프롤로지움의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출하량 240만대 돌파 소식에 2차전지 테마가 강세를 보이며 상한가에 도달했습니다.

    • 세림B&G: +29.99% - 정부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소식에 친환경 테마가 급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삼륭물산: +29.91% -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에 관련 테마가 동반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로킷헬스케어: +27.13% - 일본에서 AI 기반 피부암 재생치료 기술 임상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넵튠: +21.05% - 자회사에서 개발한 모바일 게임 '고양이 오피스'의 누적 매출이 500억 원을 돌파했다는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아이스크림미디어: +20.79% - 올해 실적 호조 전망이 부각되며 급등했습니다.

    • 중앙첨단소재: +17.81% - 테슬라 주가 강세 영향으로 리튬 관련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에코플라스틱: +17.16% - 탈 플라스틱 테마와 전기차 테마가 동시에 부각되며 급등했습니다.

    • 에프에스티: +16.80% - 미국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및 반도체 테마 전반의 강세에 힘입어 급등했습니다.

    • 강원에너지: +16.54% - 2차전지 및 소형모듈원전(SMR) 설비 사업 진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현대제철: +16.18% -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전략적 협약 체결 및 철강 업황 개선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KCTC: +14.05% - 정부의 북극항로 개척사업 국정과제 지정 소식에 물류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셀비온: +13.93% - 항암제 임상 2상 결과 발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유진테크: +13.89% -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이렘: +13.43%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 및 STS 강관 기술력이 부각되며 급등했습니다.

    • 인크레더블버즈: +12.70% -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상시화 검토 소식에 화장품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케이지에이: +12.52% - 2차전지 수계공정 핵심 기술 개발 소식이 부각되며 급등했습니다.

    • 에코프로머티: +12.08% - 테슬라 주가 강세 영향으로 2차전지 테마가 동반 급등했습니다.

    • 포커스에이아이: +11.83% - 글로벌 보안 인증 MPoC 도입 추진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에스앤에스텍: +11.45% - 2분기 호실적 전망과 EUV 펠리클 양산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에스아이리소스: +11.42%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기대감에 자원개발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웰크론: +10.73% - 폴란드 K2 전차 2차 수출 계약 확정 소식에 방산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코스모신소재: +10.60% - 테슬라 주가 상승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동반 강세를 보이며 급등했습니다.

    • 한국팩키지: +9.75% - 정부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 모멘텀이 지속되며 급등했습니다.

    • OCI홀딩스: +9.69% - 미국의 감세법 가결에도 태양광 관련 보조금(AMPC)이 유지된다는 소식에 태양광 테마가 상승하며 급등했습니다.

    • 미래반도체: +9.68% -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월덱스: +9.65% - 브이아이피자산운용의 5% 이상 지분 보유 신고에 급등했습니다.

    • 플리토: +9.62% - 글로벌 IT기업과의 63.7억 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원익IPS: +9.45% - 반도체 및 태양광 테마가 동시에 부각되며 급등했습니다.

    • 대웅제약: +9.29% -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에 힘입어 급등했습니다.

    • 이미지스: +9.24% -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급등했습니다.




    📊 테마별 급등 종목 통계 및 리스트

    테마별 통계 요약

    테마 종목 수 평균 상승률 (%)
    인공지능 1 27.13%
    기타 18 17.22%
    원전/에너지 1 16.54%
    물류/운송 1 14.05%
    실적 모멘텀 5 12.38%
    반도체 4 12.30%
    태양광 2 9.57%


    📂 반도체 (4종목 | 📈 평균 12.30%)

    종목명 종가 상승률 상승 이유
    에프에스티 31,350 +16.80% 美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반도체 테마 상승
    유진테크 50,000 +13.89%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수혜 기대감
    미래반도체 27,750 +9.68%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수혜 기대
    이미지스 6,030 +9.24%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 수혜 기대감


    📂 실적 모멘텀 (5종목 | 📈 평균 12.38%)

    종목명 종가 상승률 상승 이유
    아이스크림미디어 3,980 +20.79% 올해 실적 호조 전망
    에스앤에스텍 46,200 +11.45%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EUV 양산 기대감
    웰크론 3,310 +10.73% K2 전차 수출 2차 계약 확정 소식에 방산 테마 상승
    플리토 28,500 +9.62% 글로벌 IT기업과 63.7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대웅제약 129,500 +9.29% 2분기 호실적 전망, 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


    📂 태양광 (2종목 | 📈 평균 9.57%)

    종목명 종가 상승률 상승 이유
    OCI홀딩스 125,000 +9.69% 美 감세법 가결에도 AMPC 유지 소식, 태양광 테마 상승
    원익IPS 36,050 +9.45% 반도체 및 태양광 테마 동반 상승



    ⚠️ 중요 안내사항

    본 정보는 투자 결정에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고 자료로 제공되었습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장 상황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를 진행하시기 전에는 반드시 추가적인 정보 수집과 깊이 있는 분석,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공된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원본 데이터의 오류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