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5월 30일 국내 증시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코스피/코스닥 동반 하락국내증시 2025. 5. 30. 17:34
2025년 5월 30일 국내 증시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코스피/코스닥 동반 하락
[국내 증시] 2025년 05월 30일 금요일 마감 브리핑 🇰🇷
2025년 5월 30일 금요일, 국내 증시는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 재부각과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인해 3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양 지수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밀려 약세를 보였습니다.
오늘 시장의 주요 지수 변동, 투자자 동향, 그리고 시장의 주목을 받은 테마와 종목들의 움직임을 상세히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오늘의 국내 증시 한눈에 보기 📰
2025년 5월 30일 국내 증시는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 재부각과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코스피와 코스닥 양 지수 모두 3거래일 만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에 전일 대비 -0.84% 내린 2,697.67을, 코스닥은 외국인의 순매도에 -0.26% 하락한 734.35로 장을 마쳤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효력 일시 복원 소식에 자동차, 반도체, 2차전지 등 주요 수출 관련주들이 약세를 보였고, 최근 강세를 보였던 정책 수혜주들도 차익 매물에 하락했습니다.
반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기대감이 지속되며 제약/바이오 관련주와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에 통신장비 관련주는 상승했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도 일부 관련 테마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자세한 시장 상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국내 주요 지수 마감 현황
금일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밀려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코스피는 2,700선 아래로 밀리기도 했으나 장 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했습니다.
각 지수별 상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수 종가 변동률 거래대금 코스피 2,697.67 -0.84% 14.0조 코스닥 734.35 -0.26% 5.3조
🏦 투자자별 매매 동향 (억 원)
오늘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순매수하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시장 외국인 기관 개인 코스피 -6,118 -160 6,052 코스닥 -1,101 49 1,070
💰 증시 주변 자금 (억 원)
고객예탁금과 신용잔고는 전일 대비 감소했으나, 미수금과 선물예수금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항목 금액 증감 고객예탁금 564,029 -10,975 미수금 9,103 56 신용잔고 181,640 -114 선물예수금 117,446 2,105
📌 종목 등락 현황
금일 코스피 시장에서는 하락 종목 수가 더 많았으나,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승 종목 수가 우세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5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구분 상한 상승 보합 하락 하한 코스피 0 396 52 489 0 코스닥 5 625 114 983 0
🔥 250일 신고가 달성 종목
시장의 조정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 종목들은 250일 신고가를 경신하며 강한 모멘텀을 이어갔습니다.
주요 신고가 달성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목 종가 변동률 상상인증권 704 +2.77% 삼성중공업 16,910 +4.77% 롯데쇼핑 80,100 +1.78% BGF 4,260 +5.84% 다우데이타 17,040 +5.84% 태웅 22,900 +3.62% 나이벡 35,000 +20.90% 우리금융지주 19,290 +0.21% SAMG엔터 75,200 +7.43%
📉 코스피 마감 시황 요약
5월 30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4% 하락한 2,697.67포인트로 장을 마감하며 3거래일 만에 하락했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효력이 하루 만에 되살아나는 등 관세 불확실성이 재부각되었고,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과 국내 산업지표 부진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로 전환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기아(-4.08%), SK하이닉스(-3.54%), 삼성SDI(-3.15%) 등 자동차, 반도체, 2차전지 관련주가 하락했으며, LG(-4.57%), GS건설(-2.58%), 미래에셋증권(-6.10%) 등 지주사, 건설, 증권주도 차익 매물 출회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삼성전자(+0.18%)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0.58%), 셀트리온(+1.45%) 등 제약/바이오 및 KB금융(+1.56%) 등 은행주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 코스닥 마감 시황 요약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6% 하락한 734.35포인트로 장을 마감하며 5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미국 관세 불확실성 재부각과 최근 지수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외국인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했으나, 개인과 기관의 순매수로 낙폭은 다소 제한되었습니다.
HPSP(-2.63%), 리노공업(-3.41%) 등 반도체 관련주와 에스엠(-6.62%) 등 엔터주들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면, 에이비엘바이오(+3.60%), 펩트론(+3.33%) 등 일부 제약/바이오주는 상승했습니다.
📰 오늘의 테마 시황 요약
📈 상승 테마
- 제약/바이오 관련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기대감 지속.
- 통신장비/5G: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 우주항공산업 (일부): 정부, 스페이스X·원웹 위성통신 서비스 국내 공급 협정 승인.
- 코로나19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 태양광에너지/풍력에너지 (일부):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 지속.
- 화장품 (일부): 美 화장품 업체 엘프 뷰티 급등 영향.
- 지주사 (일부): 지배구조 개선 및 배당 확대 등 대선 공약 수혜 기대감 지속.
- 알래스카LNG 관련 테마 (일부 남-북-러 가스관, 강관, LNG, 철강, 조선 등): 韓, 美 알래스카 에너지 회의 참석 기대감 지속.
- 기타: 보톡스, 캐릭터상품, 미용기기, 홈쇼핑, 도시가스, 리튬, 폐배터리 등 다수 테마 상승.
📉 하락 테마
- 자동차 대표주/부품: 美 항소법원, 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차단 명령 효력 중지.
- 양자암호/양자컴퓨팅: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
- 반도체 관련주 (CXL, 온디바이스 AI, 유리기판, HBM, 장비, 대표주, 시스템반도체, PCB, 재료/부품 등): 차익 실현 매물 및 관세 우려.
- 기타: 건설 대표주, 핵융합에너지, 인터넷 대표주, AI 챗봇, 지능형로봇/AI, 전력설비, 2차전지(생산) 등 다수 테마 하락.
🌟 특징 테마 상세 분석
💊 제약/바이오 관련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5)가 현지시간 5월 30일부터 개최된다는 소식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관련주들이 상승했습니다.
ASCO는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들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이전 등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중요한 학회입니다.
국내에서는 온코닉테라퓨틱스, CG인바이츠, 루닛, 티움바이오 등이 주요 연구 성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특히 나이벡은 미국 소재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 체결 모멘텀이 지속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 통신장비 / 5G(5세대 이동통신)
양당 대선 후보들이 공통적으로 2030년까지 6G 통신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정책 기대감 등에 관련 테마가 상승했습니다.
6G는 5G보다 50배 빠른 전송속도와 10배 빠른 반응속도를 목표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또한, 과기정통부가 스페이스X, 유텔샛원웹 등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공급 협정을 승인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하나증권은 미국 주파수 경매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국내 통신 장비 업체들의 실적 호전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 우주 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스타링크코리아(스페이스X), 한화시스템·케이티샛(유텔샛원웹) 등이 체결한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공급에 관한 국경 간 공급 협정 3건을 모두 승인했다는 소식에 일부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자들은 단말기 적합성평가만 거치면 국내 서비스 개시가 가능해져 연내 서비스 시작이 예상됩니다.
💉 코로나19 관련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지속되면서 관련주들이 상승했습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해외 유행 확산의 국내 유입 경계 및 여름철 재유행 가능성에 대한 선제적 대비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인접 국가의 확진자 증가 상황을 주시하며 방역망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비엔씨는 CL-MAX 중국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태양광에너지 / 💨 풍력에너지
제21대 대통령선거 관련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일부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기후에너지부 신설 및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이 현실화될 경우 관련 산업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 화장품
지난밤 미국 화장품 기업 엘프 뷰티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와 유명 스킨케어 브랜드 '로드' 인수 소식에 +23.58% 급등한 영향으로 국내 일부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엘프 뷰티의 이번 인수는 프리미엄 스킨케어 영역 확장 및 고객층 다변화 전략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 자동차 대표주/부품 (하락)
미국 항소법원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 차단 명령 효력을 중지시켰다는 소식에 하락했습니다.
앞서 국제무역법원(CIT)은 트럼프 대통령의 일괄적 관세 부과가 월권이라고 판단했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항소로 상소가 진행되는 동안 관세 효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련주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하락)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양자컴퓨팅 진출 소식이 기존 양자컴퓨팅 업체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며,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관련주들이 급락한 영향으로 국내 관련 테마도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클라우드 홀로그램, 아이온큐 등 미국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상한가 및 주요 급등 종목 분석
-
한국비엔씨:
+30.00%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CL-MAX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DH오토웨어:
+29.94% - 북미법인,
글로벌 완성차향 대규모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제어기
부품 수주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케이엠더블유:
+29.92% -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미국 주파수 할당
수혜 기대감 및 4분기 흑자 전환 전망 등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DH오토리드:
+29.90% - 계열사
DH오토웨어 북미법인, 글로벌 완성차향 대규모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제어기 부품 수주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에이스테크:
+29.80%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대보마그네틱:
+24.86% - 최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확산세로 MEF 장비 수요 증가
소식 속 전자석탈철기(EMF) 시장점유율 1위 사실 부각에
급등했습니다.
-
나이벡:
+22.11% (250일
신고가에서는 +20.90%로 표기됨)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미국 소재 제약바이오 기업과 약 5,952.95억원
규모 NP-201 기술이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했습니다.
-
LK삼양:
+20.67% - 정부,
스페이스X·원웹 위성통신 서비스 국내 공급 협정 승인
소식에 일부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HD현대에너지솔루션:
+18.55% -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샤페론:
+17.13%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차세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누겔(NuGel)'에 대한 기술이전 기대감 부각에
급등했습니다.
-
파루:
+14.70% -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오이솔루션:
+13.20%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쏘닉스:
+12.39%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HS효성:
+11.01% - 이론적
배당수익률 200% 가능 분석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했습니다.
-
RFHIC:
+10.95%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나인테크:
+10.11% - 자회사
에너지11, 한국동서발전과 나트륨배터리 ESS 실증사업
착수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하나기술:
+10.09% - 올레드웍스와
독일 아헨(Aachen) 제조라인에 열면취 장비 셋업 완료
및 양산 체제 돌입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달바글로벌:
+9.97% -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해외 매출 안정적 우상향 전망 등에
급등했습니다.
-
이노와이어리스:
+9.95%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대웅제약:
+9.52% - 제약/바이오,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녹십자웰빙:
+9.35%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에스테틱 포트폴리오 강화 속 리레이팅
기대감 등에 급등했습니다.
-
PS일렉트로닉스:
+9.29%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에치에프알:
+9.28% - 2030년 6G
통신 상용화 정책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대한광통신:
+9.06% -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 상승 속 美 수주잔고 급증 모멘텀
지속에 급등했습니다.
⚠️ 중요 안내사항
본 정보는 투자 결정에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고 자료로 제공되었습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장 상황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를 진행하시기 전에는 반드시 추가적인 정보 수집과 깊이 있는 분석,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공된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원본 데이터의 오류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국내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4일 국내 증시 마감: 새 정부 출범! 코스피/코스닥 정책 기대감에 급등 (2) 2025.06.04 2025년 6월 2일 국내 증시 마감: 대선 경계감 속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상승 (3) 2025.06.02 2025년 5월 29일 국내 증시 마감: 코스피 급등! 정책 기대감·금리인하에 최고치 경신 (2) 2025.05.29 2025년 5월 28일 국내 증시 마감: 코스피 연고점 경신! 반도체/2차전지 강세 (3) 2025.05.28 2025년 5월 27일 국내 증시 마감: 코스피 하락, 코스닥 강보합 혼조세 (2) 2025.05.27 -
한국비엔씨:
+30.00%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CL-MAX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품목허가 획득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