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끊임없이 움직이며 발전하는 개미의 모습

Today
Yesterday
Total
  • 2025년 5월 20일 국내 증시 마감: 코스피 약보합, 코스닥 반등 및 주요 테마 분석
    국내증시 2025. 5. 20. 17:36
    2025년 5월 20일 국내 증시 마감: 코스피 약보합, 코스닥 반등 및 주요 테마 분석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마감 시황

    오늘 코스피는 외국인 매도세에 약보합으로 마감했으나,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4거래일 만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시장의 주요 지수 변동, 투자자 동향, 그리고 주목할 만한 테마와 종목들을 지금부터 상세히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국내 주요 지수 마감 현황

    금일 코스피는 소폭 하락하였고, 코스닥은 상승 마감하며 엇갈린 모습을 보였습니다.

    자세한 지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수 종가 변동률 거래대금
    코스피 2,601.80 -0.06% 7.5조
    코스닥 715.55 +0.25% 6.9조



    🏦 투자자별 매매 동향 (억 원)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순매도세를 이어갔으나 개인과 기관이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폭을 제한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반등을 이끌었습니다.

    시장 외국인 기관 개인
    코스피 -1,145 609 206
    코스닥 530 582 -733



    💰 증시 주변 자금 (억 원)

    고객예탁금과 신용잔고는 소폭 감소했으나, 선물예수금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항목 금액 증감
    고객예탁금 562,744 -2,442
    미수금 8,968 -221
    신용잔고 177,802 -251
    선물예수금 115,694 532



    📌 종목 등락 현황

    금일 코스피 시장에서는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했으며,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승 종목 수가 더 많았습니다.

    구분 상한 상승 보합 하락 하한
    코스피 1 554 45 337 0
    코스닥 3 952 107 662 1



    🔥 250일 신고가 달성 종목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250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들입니다.

    종목 종가 변동률
    두산우 295,500 +13.87%
    현대건설 46,800 +2.86%
    SNT다이내믹스 39,000 +11.75%
    콜마홀딩스 12,430 +13.83%
    두산에너빌리티 37,150 +7.37%
    진성티이씨 11,300 +19.07%
    대아티아이 4,430 +8.05%
    한국금융지주 96,800 +2.33%
    텔코웨어 12,910 +1.25%
    킵스파마 16,630 +12.36%
    파마리서치 438,500 +3.79%



    📉 코스피 마감 시황 요약

    5월 20일 코스피 지수는 2,601.80포인트로 마감, 전 거래일 대비 0.06% 소폭 하락하며 이틀 연속 약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밤 뉴욕 증시가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소식에도 불구하고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소폭 상승했으나, 국내 증시는 뚜렷한 반등 모멘텀 부재 속 눈치보기 장세를 나타냈습니다.

    외국인이 이틀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에 부담을 주었고, 기관은 하루 만에 순매수세로 전환했으며 개인도 이틀 연속 순매수했습니다.

    미국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로 LG에너지솔루션(-4.12%), 삼성SDI(-4.66%) 등 2차전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하락했고, 조선주와 방산주도 약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은행주(신한지주 +3.26%), 증권주(한국금융지주 +2.22%)는 상승했고, 엔비디아 CEO의 AI 생태계 확대 언급에 삼성전자(+0.18%), SK하이닉스(+1.30%) 등 반도체 관련주도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독일의 탈원전 정책 기조 철회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두산에너빌리티 +7.51%)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 코스닥 마감 시황 요약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5% 상승한 715.55포인트로 장을 마감하며 4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신용등급 강등 이슈에도 저가 매수세로 소폭 상승 마감하면서 투자 심리가 다소 개선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거래일, 3거래일 만에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개인은 4거래일 만에 순매도로 전환했습니다.

    K-뷰티 열풍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으로 화장품 테마(실리콘투 +11.65%, 씨앤씨인터내셔널 +14.47%)가 강세를 보였고, 신규 상장한 바이오비쥬(+101.98%)는 급등했습니다.

    독일의 탈원전 정책 기조 철회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도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반면, 미국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로 2차전지(에코프로비엠 -5.76%, 에코프로 -6.58%)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는 하락했습니다.




    📰 오늘의 테마 시황 요약

    📈 상승 테마

    - 반도체/전선/전력설비: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AI 생태계 확대 언급.

    - 화장품/미용기기/의료기기/보톡스: K-뷰티 열풍 및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러-우 휴전협상 즉시 시작' 언급.

    - 풍력에너지: 뉴욕 해상풍력 프로젝트 전격 재개 소식.

    - 철도/GTX/대선 정책 관련주 (지역화폐, STO 등): 이재명 대선 후보의 교통분야 공약 논의 소식.

    - 원자력발전: 독일의 탈(脫)원자력 정책 기조 철회 소식.

    - 지주사/증권: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노력 및 리레이팅 기대감.

    - 기타: 면역항암제, 골판지, DMZ 평화공원, 초전도체, 스마트그리드, 네옴시티 등 다수 테마 상승.

    📉 하락 테마

    - 2차전지/전기차/리튬/폐배터리: 테슬라 주가 하락 및 美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

    - 자동차 대표주/부품: 4월 대미 자동차 수출 급감 소식.

    - 태양광에너지 (일부): 美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

    - 코로나19/육계: 최근 부각 후 차익 매물 출회.

    - 기타: 조선, MLCC, 해운, 정유, IT 대표주, 화학섬유, 바이오시밀러 등 다수 테마 하락.




    🌟 특징 테마 상세 분석

    ⚡ 반도체 / 전선 / 전력설비

    테마 설명: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AI 생태계 확대 언급 소식 등에 상승했습니다.

    황 CEO는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엔비디아를 'AI 인프라 기업'으로 정의하며 AI 생태계 주도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AI 공장 구축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AI가 수조 달러 규모의 새로운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와 협력하는 국내 반도체 업계 및 AI 전력 인프라 관련주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 화장품 / 미용기기 / 의료기기 / 보톡스

    테마 설명:
    K-뷰티 열풍 등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국내 K-뷰티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에서 차별화된 제품력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또한, 국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한 외국인의 소비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으며, 특히 피부과 이용 금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규 상장한 바이오비쥬는 상장 첫날 급등하며 K-뷰티 관련주에 대한 관심을 높였습니다.



    🏗️ 우크라이나 재건 / 건설기계 등

    테마 설명: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협상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고 언급한 소식 등에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 후, 양국이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푸틴 대통령 또한 적절한 합의 시 평화 협정 체결 준비가 되어있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 풍력에너지

    테마 설명:
    뉴욕의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엠파이어 윈드'가 전격 재개된다는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단되었으나, 최근 뉴욕주와 관련 업계의 노력으로 건설 재개가 승인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7년 상업 운영을 목표로 하며, 뉴욕시에 상당한 규모의 전력을 공급하고 다수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철도

    테마 설명: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가 '고속철도 체계' 개편 등 교통분야 공약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전국 1시간대 생활권 통합을 목표로 신규 고속열차 및 인프라 도입, KTX 차량 교체, 대중교통 이용 체계 통합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원자력발전

    테마 설명:
    독일이 탈(脫)원자력 정책 기조를 철회했다는 소식 등에 상승했습니다.

    독일 정부가 EU 법률에서 원전을 재생에너지와 동등하게 취급하려는 프랑스의 노력을 더 이상 막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이는 유럽연합(EU)의 원전 활성화에 속도를 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두산에너빌리티는 AI 데이터센터향 가스터빈 수주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지주사

    테마 설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노력을 통한 리레이팅 기대감 등에 상승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주회사가 NAV 대비 과도한 할인을 받고 있으며, 이는 불투명한 기업 지배구조와 미흡한 주주환원정책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신정부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상속세 개편,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논의 자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차전지 (하락)

    테마 설명:
    중국 샤오미의 테슬라 모델Y 경쟁 차량 출시 예고 속 테슬라 주가 하락 및 미국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 등으로 하락했습니다.

    샤오미가 중형 크로스오버 'YU7' 공개를 예고하면서 테슬라 주가가 하락했으며, 미국 하원 공화당이 IRA 청정에너지 세액공제의 조기 폐지를 추진한다는 소식도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자동차 대표주/부품 (하락)

    테마 설명:
    4월 대미 자동차 수출이 20% 가까이 급감했다는 소식 등에 하락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4월 대미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9.6% 감소했으며, 이는 미국의 25% 자동차 품목 관세 및 전기차 수요 정체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 태양광에너지 (일부 하락)

    테마 설명:
    미국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에 따른 뉴욕 증시 태양광 관련주 하락 영향 등으로 일부 관련주가 하락했습니다.

    미국 하원 공화당이 IRA 청정에너지 세액공제의 조기 폐지를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 상한가 및 주요 급등 종목 분석

    • 바이오비쥬: +101.98%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신규상장 첫날 급등했습니다.

    • 평화홀딩스: +30.00% - 지주사 및 정치/인맥(김문수) 테마 상승 속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삼륭물산: +30.00% - 이재명 정책주로 부각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압타머사이언스: +29.94% - 인도 기업과 폐암 조기진단키트 상용화 계약 체결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씨에스베어링: +29.90% - 뉴욕 해상풍력 프로젝트 전격 재개 소식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 평화산업: +28.70% - 정치/인맥(김문수)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씨씨에스: +20.47% - 경영권 분쟁 지속 속 양자컴퓨터 사업 진출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했습니다.

    • 진성티이씨: +19.07% -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업황 반등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급등했습니다.

    • 대영포장: +18.80% - 정치/인맥(김문수)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GS피앤엘: +16.14%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노력을 통한 리레이팅 기대감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원익홀딩스: +15.81% - 자회사 원익로보틱스, 로봇 핸드 '알레그로 핸드 V5 4F 플러스’ 유럽연합 CE 인증 획득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나우로보틱스: +14.96% - 88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수 결정 속 급등했습니다.

    • 유라클: +14.81% - LG AI연구원 AI 모델 '엑사원 패스', 엔비디아 의료 AI 플랫폼 공급 소식 속 LG AI연구원과 AI 사업 파트너십 체결 이력 부각에 급등했습니다.

    • 엔에프씨: +14.62%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1분기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에 급등했습니다.

    • 씨앤씨인터내셔널: +14.47% - 화장품 테마 상승 및 스킨케어까지 영역 확장 속 글로벌 ODM기업으로 도약 기대감 등에 급등했습니다.

    • 콜마홀딩스: +13.83% (250일 신고가 변동률 기준, 급등목록에서는 12.09%로 표기됨) - 지주사 및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코어라인소프트: +13.86% - 英 옥스퍼드 대학병원에 AI 폐암 검진 솔루션 공급 및 美 라드넷과 지분 스왑 등 협력 관계 논의 소식 등에 급등했습니다.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13.08%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1분기 분기 최대 실적 및 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했습니다.

    • SNT다이내믹스: +12.61% (250일 신고가에서는 11.75%로 표기됨) - 현대로템의 K2전차 폴란드 2차 계약 이달 말 체결 전망 속 수혜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했습니다.

    • 서호전기: +12.43% -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했습니다.

    • 킵스파마: +12.36% - 美 자회사 알곡바이오, 영국 암연구소 주도 난소암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이데트렉세드' 임상 환자 모집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네오이뮨텍: +11.80% - NTI7 및 CAR-T 치료제 병용 요법 임상 1b상 탑라인 긍정적 데이터 발표 모멘텀 지속 속 급등했습니다.

    • 실리콘투: +11.65% -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유럽·중동 중심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급등했습니다.

    • 가온전선: +11.42%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I 생태계 확대 언급 소식 등에 전력설비/전선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엘앤씨바이오: +10.94% - K-뷰티 열풍 등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SK이터닉스: +10.90% - 뉴욕 해상풍력 프로젝트 전격 재개 소식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 내츄럴엔도텍: +10.43% - K-뷰티 열풍 등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했습니다.




    오늘의 증시 종합 요약

    2025년 5월 20일 국내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의 이틀 연속 순매도 영향으로 2,601.80(-0.06%)에 약보합 마감하며 이틀 연속 하락했습니다.

    반면, 코스닥 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에 힘입어 715.55(+0.25%)로 4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주요 이슈로는 엔비디아 CEO의 AI 생태계 확대 발언에 따른 반도체 및 AI 관련주 강세, K-뷰티 열풍 지속에 따른 화장품 관련주 상승, 그리고 독일의 탈원전 정책 철회 소식에 따른 원자력발전 테마 강세 등이 있었습니다.

    반면, 미국 IRA 세액공제 조기 폐지 우려와 테슬라 주가 하락 영향으로 2차전지 및 태양광 관련주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4월 대미 자동차 수출 급감 소식에 자동차 관련주도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시장은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 개별 테마와 모멘텀에 따라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중요 안내사항

    본 정보는 투자 결정에 도움을 드리기 위한 참고 자료로 제공되었습니다.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장 상황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를 진행하시기 전에는 반드시 추가적인 정보 수집과 깊이 있는 분석,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공된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원본 데이터의 오류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